본문 바로가기
2030 금융 상식

물가상승률과 실질금리, 내 돈의 진짜 가치 계산법

by basefootball 2025. 8. 24.

물가상승률 실질금리. /사진=야무머니

물가상승률과 실질금리, 내 돈의 진짜 가치 계산법

작성자: 야무머니 | 작성일: 2025년 8월 24일

 

“예금 금리가 4%라는데, 꽤 괜찮은 거 아닌가?” 하지만 동시에 물가상승률이 5%라면, 실제로는 내 돈의 가치는 -1%가 되는 셈입니다. 이처럼 겉으로 보이는 금리가 아닌, 실질금리를 이해해야 내 자산을 지킬 수 있습니다. 오늘은 사회초년생 눈높이에서 물가상승률과 실질금리의 관계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 실질금리란?

실질금리(Real Interest Rate)는 명목금리(예금·대출 금리 등)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값입니다.

  • 명목금리: 은행에서 보여주는 겉으로의 금리
  • 실질금리: 물가를 고려한 실제 내 돈의 성장률

계산식: 실질금리 = 명목금리 – 물가상승률


📊 예시로 보는 실질금리

예금 금리 4%, 물가상승률 5%일 때:

  • 명목금리 = 4%
  • 실질금리 = 4% – 5% = -1%

즉, 통장 숫자는 늘어나도 실제 구매력은 줄어드는 셈입니다. 편의점에서 컵라면이 작년보다 200원 올랐다면, 내 예금 이자로는 이를 따라잡지 못한 거죠.


📈 반대로 물가가 낮으면?

만약 예금 금리 3%, 물가상승률 1%라면?

  • 실질금리 = 3% – 1% = +2%

이 경우에는 돈의 가치가 실제로 늘어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 사회초년생이 알아야 할 포인트

  1. 금리를 볼 때 물가도 함께 고려하기
  2. 인플레이션 방어형 자산 (예: 물가연동채, 부동산, 금 등) 관심 가지기
  3. 분산 투자를 통해 예·적금만이 아닌 다양한 투자 수단 활용

🌍 생활 속 적용 사례

  • 월급이 오르지 않아도 물가상승률이 높다면 사실상 실질소득이 줄어드는 것
  • 통신비, 교통비, 식비가 매년 오르는 만큼, 내 예금 금리로는 이를 따라잡기 어려움

🚀 결론

실질금리를 이해하는 순간, 단순히 숫자만 보고 만족하는 투자 습관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사회초년생이라면 금리와 물가를 함께 비교하며, 내 돈의 ‘실질 가치’를 지키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현명한 재테크의 첫걸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