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금융 상식

사회초년생이 반드시 알아야 할 세금 환급 꿀팁 5가지

basefootball 2025. 7. 9. 11:13

사회초년생 세금 환급 꿀팁. /사진=야무머니


사회초년생이 반드시 알아야 할 세금 환급 꿀팁 5가지

작성자: 야무머니 | 작성일: 2025년 7월 9일

첫 연말정산 시즌을 맞이한 사회초년생이라면, 세금이 왜 이렇게 많이 나가는지 답답한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세금 환급은 사회초년생이 가장 쉽게 목돈을 만드는 재테크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사회초년생이라면 반드시 챙겨야 할 세금 환급 꿀팁 5가지를 정리했습니다.

1. 신용카드 & 체크카드 소득공제

연말정산 환급의 기본은 카드 사용 공제입니다. 연 소득의 25% 초과분부터 공제되며, 체크카드 사용분은 30%, 신용카드는 15% 공제율이 적용됩니다. 월급이 적은 사회초년생일수록 체크카드 비중을 높이는 것이 유리합니다.

2. 전세자금대출 이자상환액 공제

주택청약 가입 후, 전세자금대출을 받은 사회초년생이라면 이자상환액에 대한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무주택 세대주 조건이며,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에서 ‘주택자금공제’ 항목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3. 월세 세액공제

월세를 내고 있다면 꼭 챙겨야 하는 공제입니다.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가 대상이며, 지급한 월세액의 10~12%를 세액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전입신고와 임대차계약서, 계좌이체 영수증을 반드시 준비하세요.

4. 연금저축 & IRP 세액공제

연금저축과 IRP를 합산해 연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이 주어집니다. 사회초년생이라면 연금저축 400만 원 + IRP 300만 원으로 나누어 가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공제율은 16.5% 혹은 13.2%로, 최대 115만 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5.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사회초년생이 중소기업에 취업하면, 5년간 소득세의 90%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연 150만 원 한도). 회사가 ‘중소기업 확인서’를 발급해줘야 하며, 입사 시 반드시 인사팀에 신청 여부를 확인하세요.

마무리: 세금 환급도 재테크다

사회초년생 재테크는 거창한 투자보다, **무조건 돌려받을 수 있는 돈을 빠짐없이 챙기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오늘 알려드린 5가지 환급 꿀팁을 실천해, 이번 연말정산에서는 적게 내고 많이 돌려받는 똑똑한 금융습관을 만들어보세요.

※ 본 글은 2025년 7월 기준 세법 내용을 참고해 작성되었으며, 개별 공제 가능 여부는 국세청 및 회사 인사팀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