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내는 세금, 어디에 쓰이는지 아세요?” 사회초년생을 위한 조세 상식 입문
작성자: 야무머니 | 작성일: 2025년 7월 20일
첫 월급을 받고 급여명세서를 봤을 때, “이게 뭐야, 왜 이렇게 많이 빠져나가?” 라고 놀라신 적 있으시죠?
사실 우리가 받는 월급은 ‘세전’ 기준입니다. 실제로 통장에 찍히는 금액은 세금과 4대 보험을 뗀 후의 금액이죠.
오늘은 사회초년생을 위한 ‘세금과 공공재의 연결 고리’를 쉽고 정확하게 풀어드립니다.
✅ 월급에서 빠지는 건 뭐가 있을까?
✔ 필수 항목 ①: 근로소득세
- 📌 정부가 걷는 국세
- 💡 연봉이 높을수록 더 많이 부과 (누진세 구조)
- ✅ 연말정산을 통해 환급 또는 추가 납부 조정
✔ 필수 항목 ②: 4대 보험
- 건강보험: 병원비, 국가 건강관리
- 국민연금: 노후연금, 퇴직 후 수령
- 고용보험: 실업급여, 직업훈련 지원
- 산재보험: 업무 중 사고 시 치료/보상
💡 평균 공제율: 세금 + 4대 보험 = 월급의 약 10~15%
✅ 그럼, 내가 낸 세금은 어디에 쓰일까?
막연하게 ‘정부가 쓰겠지’가 아니라, 우리가 실제로 체감하는 공공 혜택의 재원이 바로 세금입니다.
세금 항목 | 주요 쓰임새 | 실생활 적용 예 |
---|---|---|
근로소득세 | 국가 예산 재원 | 도로 정비, 국공립대 지원, 소방·경찰 운영 |
건강보험료 | 의료비 지원 | 동네 병원 30%만 부담, 예방접종 무료 |
국민연금 | 노후 보장 | 퇴직 후 매달 연금 수령 |
고용보험 | 실업 시 생활 지원 | 구직수당, 청년내일채움공제 |
즉, 세금은 ‘내가 받은 서비스에 대한 비용’이기도 합니다.
✅ 내가 내는 세금, 이렇게 확인하세요
① 급여명세서 확인
📌 ‘공제 항목’에서 소득세, 주민세, 4대 보험 항목을 체크
② 국세청 홈택스
홈택스 → My 홈택스 → 연말정산 자료 조회
③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4insure.or.kr에서 본인의 납부 내역, 가입 기간, 예상 연금 확인 가능
✅ 사회초년생이 기억할 3가지 조세 상식
- 세금은 '부담'이 아니라 '공동 혜택의 기여'입니다.
- 무조건 많이 떼는 게 아니라, 소득 수준에 따라 조정됩니다.
- 많이 낸 만큼 돌려받거나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보험 급여 등)
마무리: 세금은 ‘내 돈이 사라지는 게 아니라, 돌아오는 길’입니다
“내 월급에서 이렇게 많이 떼가네”라는 불만도 세금의 구조와 쓰임새를 정확히 알면 ‘내가 혜택을 위한 투자’를 한다는 인식으로 바뀝니다.
오늘 급여명세서를 다시 한 번 들여다보세요. 그 안엔 미래의 나를 위한 사회 안전망이 담겨 있습니다.
※ 본 콘텐츠는 2025년 7월 기준 기획재정부, 국민건강보험공단, 고용노동부 공식 자료를 참고해 작성되었습니다.
'2030 금융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준금리 0.25%p 인상? 그래서 내 통장엔 무슨 일이 생기는데요? (0) | 2025.07.17 |
---|---|
‘내 연말정산은 왜 매번 쥐꼬리?’ 놓치기 쉬운 공제 항목 총정리 (1) | 2025.07.16 |
사회초년생이 반드시 알아야 할 세금 환급 꿀팁 5가지 (1) | 2025.07.09 |
20대 직장인의 첫 번째 퇴직연금, DB vs DC vs IRP 총정리 가이드 (0) | 202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