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월급 관리

‘내 월급 왜 이래?’ 사회초년생을 위한 4대 보험 실수령액 계산기 활용법

basefootball 2025. 7. 14. 14:37

4대 보험 실수령액 계산기. /사진=야무머니

‘내 월급 왜 이래?’ 사회초년생을 위한 4대 보험 실수령액 계산기 활용법

작성자: 야무머니 | 작성일: 2025년 7월 14일

 

“분명 연봉 3,000인데 왜 통장에 찍힌 건 이거밖에 없지?” 첫 월급을 받아본 사회초년생이라면 한 번쯤 이런 의문을 가졌을 겁니다. 4대 보험과 세금 공제를 반영한 ‘실수령액’을 제대로 계산하지 않으면, 월급관리는 시작조차 어렵습니다.

✅ 실수령액이란?

실수령액은 회사에서 고지한 세전 월급(총급여)에서 4대 보험료, 세금 등을 공제한 뒤 실제로 입금되는 금액을 말합니다. 세전 급여와 실수령액 사이에는 최대 수십만 원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4대 보험 공제 항목 정리

구분 공제 비율 (근로자 부담 기준) 비고
국민연금 4.5% 노후연금 준비
건강보험 3.545% 장기요양보험료 포함 시 3.923%
고용보험 0.9% 실업급여 등 대비
소득세 + 지방소득세 약 1~3% 연봉과 가족 수에 따라 변동

✅ 사회초년생 실수령액 계산 예시

예시 연봉: 3,000만 원 / 세전 월급: 약 250만 원 → 공제 후 실수령액: 약 220~225만 원 수준 (개인 조건에 따라 다름)

✅ 추천 실수령액 계산기 사이트 TOP 2

① 사람인 실수령액 계산기

② 잡코리아 연봉계산기

✅ 급여명세서에서 꼭 봐야 할 항목

  • 총지급액: 기본급 + 수당 등 모든 금액 포함
  • 공제 항목: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등
  • 차인지급액(실수령액): 실제 입금되는 금액

✅ 사회초년생을 위한 실전 팁

  • ✔ 입사 직후 실수령액 계산기로 실제 월 예산을 파악하세요.
  • ✔ 급여명세서는 월급관리 앱(예: 토스, 뱅크샐러드)과 연동해 저장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 공제 내역을 모르면 연말정산 환급이나 추가 세금 부담이 생길 수 있습니다.

마무리: 실수령액부터 정확히 알아야 진짜 월급관리 시작!

눈에 보이는 연봉이 아닌, 실제로 손에 쥐는 돈이 얼마인지 아는 것이 사회초년생 재테크의 첫걸음입니다. 지금 바로 실수령액 계산기를 활용해, 당신의 진짜 월급과 맞춤형 예산을 세워보세요.

※ 본 글은 2025년 7월 기준 4대 보험 및 세율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실제 공제액은 개인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